수락지맥 1차(분기점~덕릉고개) : 막바지에 힘겹게 오른 수락산!
산 행 지 : 수락지맥 1차(분기점~덕릉고개) (경기도 포천시, 남양주시, 의정부시, 서울시 노원구)산 행 일 : 2024. 12. 31.(화)산행코스 : 축석고개정류장~무림리고개 + 수락지맥분기점~235봉~비루봉~비루고개~깃대봉(도정산)~박수고개~43번국도(숫돌고개)~숫돌고개~사기막고개~향로봉~수락산~도솔봉아래~덕릉고개 + 당고개역 (어프로치 2.4km + 기맥 20.6km = 23km, 9시간 소요)산행참석 : 3명. ◆ 수락지맥(水落枝脈) ▶개요수락지맥(水落支脈)은 한북정맥의 축석령 남동쪽 1.4 km 지점 220봉에서 남동쪽으로 분기하여 용암산(475.4m), 깃대봉(288.3m), 수락산(640.6m), 불암산(509.4m), 구능산(171m), 망우산(281.3m), 용마산(349m),..
2025. 2. 10.
금남호남(錦南湖南), 금남(錦南), 호남정맥(湖南正脈)의 32지맥(枝脈)
◆ 금남호남정맥(錦南 湖南正脈)의 2지맥(枝脈)1. 천황지맥(天皇枝脈) (금남호남)금호남정맥의 팔공산(八公山, 1,151m)에서 섬진강(蟾津江) 본류와 그 지류인 요천(蓼川)을 가르며 서쪽으로 내려선 산줄기는 마령치에서 올라선 봉우리(861m)에서 오수천(獒樹川)을 감싸며 내려가는 두 개의 산줄기로 나뉜다. 북서쪽으로 분기한 성수지맥(聖壽枝脈)은 오수천의 서쪽 울타리를 이루며 성수산(聖壽山, 875.9m), 삼봉산(529.4m), 고덕산(619m), 봉화산(467.6m), 원통산(603.5m), 무량산(586.4m)을 거쳐 순창군 적성면 평남리 구남마을의 어은정에서 그 맥을 다하는 도상거리 56.9km의 산줄기이고, 남서쪽으로 분기한 천황지맥(天皇枝脈)은 개동산/묘복산(845.9m), 상서바위(840m)..
2025. 2. 4.
한남금북(漢南錦北), 한남(漢南), 금북(錦北)정맥의 27지맥
◆ 한남금북정맥(漢南錦北正脈)의 5지맥(枝脈) 1. 금적지맥(金積枝脈) (한남금북)보청천 서쪽, 대청호 동쪽 분수령인 금적지맥(金積支脈)은 속리산 천황봉에서 안성의 칠장산으로 이어지는 한남금북정맥이 구룡산 직전의 분기점(450m)봉 부근으로 충청북도 보은군 회북면과 수한면의 경계에 있음)에서 남쪽으로 가지를 쳐 충청북도 옥천군 청성면 합금리로 이어지는 도상거리 약 51.3km의 산줄기로, 450봉 부근에서 시작하여 함금리에서 그 맥을 금강에 넘기고 있다.이 산줄기는 구룡산(549.7m), 부수봉 갈림, 노성산 (516m), 국사봉(551.6m) 갈림, 피난봉(430m), 거멍산(494.1m), 덕대산(575m), 금적산 (651.9m), 하마산(350m) 갈림, 국사봉(475m)을 지나 보청천(좌)에서 ..
2025. 2. 4.
한북정맥(漢北正脈)의 12지맥(支脈)
◆ 한북정맥(漢北正脈)의 12지맥(支脈) 백두대간 식계산에서 분기하여 광덕산, 백운산, 청계산, 운악산, 죽엽산, 한강봉을 거처 장명산에서 그 맥을 다하는 한북정맥에는 왕재지맥(旺載枝脈), 보개지맥(寶蓋枝脈), 적근지맥(赤根枝脈), 명성지맥(鳴聲支脈), 대득지맥(大得枝脈), 화악지맥(華嶽支脈), 명지지맥(明智支脈), 천마지맥(天馬支脈), 수락지맥(水落枝脈), 왕방지맥(王訪支脈), 감악지맥(甘嶽支脈), 오두지맥(烏頭支脈)의 12개 지맥이 분기한다. 1. 왕재지맥(旺載枝脈) (한북)왕재지맥은 백두대간의 추가령(楸哥嶺)에서 분기한 한북정맥의 산줄기가 내려오다가 북한땅 장암산(帳巖山, 1,063m)에서 남서쪽으로 분기하여 내려오면서 두리봉(505m), 오리산(453m), 왕재봉(608m), 발리봉(488m)을..
2025. 2.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