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65 대간남진 41차(여원재~정령치) : 마을과 들판을 가로지른 백두대간 산 행 지 : 백두대간 41차(여원재~정령치) 산 행 일 : 2015. 10. 24.(토) 산행코스 : 여원재 ~ 입망치 ~ 수정봉 ~ 고기리 ~ 고리봉 ~ 정령치 (거리 12km) 산행참가 : 19백두. 목구멍이 포도청이라고, 머슴도 쉴 수가 있고 휴가도 갈 수 있기는 하다. 하지만 고용주에게 급한 일이 생기면 머슴의 권리는 제한되고 고용주의 이익에 충실해야 한다. 일 년에 한두 번은 있어 온 상황이라 별반 억울하거나 당황스럽지는 않지만, 그동안 이어온 대간남진 능선을 잇지못한다는 게 살짝 아쉬울 따름이다. 대간길은 10여년 전에 한번 걸은 길이라 꼭 땜빵을 해야겠다는 생각도 크지 않아, 산행하신 분들의 사진을 관련 예깃거리와 함께 남김으로써 아쉬움에 대신하고자 한다. 여원재 산행 들머리의 이정표. 여.. 2015. 10. 25. 백두대간 23차(고치령~도래기재) 산 행 지 : 백두대간 23차(고치령~도래기재) 산 행 일 : 2005. 10. 22.(토) 산행코스 : 좌석리 ~ 고치령 ~ 미내치 ~ 마구령 ~ 갈곷산 ~ 늦은목이 ~ 선달산 ~ 박달령 ~ 옥돌봉 ~ 도래기재 (도상거리 약 26km) 참 가 자 : 00덕팔 좌석리에서 고치령으로 오르는 포장도로를 따라, 지난 대간산행의 날머리였던 고치령을 향한다. 고치령 도착. 지난 산행에서 보았던 장승들도 그대로 시간을 지키고 있다. 고치령 산행 들머리를 지키는 장승 앞에 선 회장님. 손축지님은 들머리에서 어서 출발 소리가 들리기만 기다리고 있다. 미내치 도착. 미내치에 도착하는 김종협님. 1096봉 삼각점. 1096봉 정상 헬기장을 지나는 덕팔들. 마구령 도착. 마구령에서 잠시 여유를 찾는 덕팔들. 마구령 증명. .. 2015. 10. 23. 대간남진 40차(복성이재~여원재) : 운봉고원과 지리산 북부능선 조망을 즐기며 걸은 대간길 산 행 지 : 백두대간 40차(복성이재~여원재) 산 행 일 : 2015. 10. 09.(금) 산행코스 : 복성이재 ~ 시리봉 ~ 사치재 ~ 매요리 ~ 고남산 ~ 여원재 (거리 18.6km) 산행참가 : 19명. 주) 10월 9일 한글날 연휴로 인하여 산행일 조정. 홍도 탐방은 예약 곤란으로 순연하였기에 죄송^^ 오늘 산행은 전라북도 지리산 북쪽 경계를 품은 남원땅 운봉고원을 휘감아 도는 산행이다. 등산로는 곳곳에 이정표와 시그날이 잘 되어있어서 알바의 가능성도 낮고, 백두대간 중에서는 그다지 어렵지 않은 산행 코스다. 산행 중에 지나게 될 아막산성과 사치재, 매요마을, 고남산과 운봉고원 등에 대해서 미리 알아보고 가면, 산행은 또다른 의미로 다가올 수 있는 대간길이 될 것이다. 사실 가야 할 코스에 대해.. 2015. 10. 10. 백두대간 22차(죽령~고치령) 산 행 지 : 백두대간 22차(죽령~고치령) 산 행 일 : 2005. 10. 8.(토) 산행코스 : 죽령 ~ 송신소입구 ~ 제2연화봉 ~ 천체관측소 ~ 제1연화봉 ~ 비로봉 ~ 국망봉 ~ 상월봉 ~ 늦은맥이고개 ~ 마당치 ~ 고치령 ~ 좌석리 (도상거리 약 00km) 참 가 자 : 00덕팔 간밤에 내린 비로 바닥이 젖어 있는 죽령 휴게소에서 산행 준비를 마치고, KT중계소로 이어지는 시멘트 포장 임도 입구에서 소백산 구간 대간 산행을 시작한다. 소백산 방향 죽령 기점 이정표. 안개 자욱한 첫번째 전망대를 지난다. 제2연화봉 갈림길. 제2연화봉 등산 안내도. 소백산천문대 입구 이정석. 소백산천문대 뒤편 공터의 소백산국립공원 안내도에서 가야 할 대간길을 살펴보는 덕팔들. 연화봉 도착. 연화봉 탐방 안내도. .. 2015. 10. 9. 대간남진 39차(중고개재~복성이재) : 비구름 걷히며 드러나는 조망을 즐겨 걸은 대간길 산 행 지 : 백두대간 39차(중고개재~복성이재) 산 행 일 : 2015. 09. 12.(토) 산행코스 : 삼거리 + 중고개재~중재~월경산갈림길~광대치~봉화산~매봉~복성이재 (거리 14km + 1km) 산행참가 : 18명. 이번 산행의 시작은 지난 산행 날머리인 지지계곡에서 중고개재로 올라서 대간길을 이어가기로 했었는데, 비 예보에 따라 지지계곡을 건널 수 없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반대쪽 함양군 백전면 중기마을을 들머리로 하여 중재로 오르기로 변경했다. 중고개재와 중재 사이의 1km 남짓 거리는 중재에 배낭을 벗어 두고 왕복할 요량이었으나, 옛날 북진길에 걸었던 길이라며 생략하자는 중론에 따라 중재에서 대간 남진길로 바로 들어섰다. 옛날 대간 북진길에 중재에서 중기마을로 하산한 적이 있어서 중기마을까지 .. 2015. 9. 13. 백두대간 20차(차갓재~저수재) 산 행 지 : 백두대간 20차(차갓재~저수재) 산 행 일 : 2005. 9. 10.(토) 산행코스 : 생달리 ~ 차갓재 ~ 작은차갓재 ~ 황장산 ~ 감투봉 ~ 항장재 ~ 폐백이재 ~ 벌재 ~ 돌목재 ~ 옥녀봉 ~ 문복대 ~ 저수재(저수령) (도상거리 약 16.2km) 참 가 자 : 00덕팔 안생달 마을에서 새벽 3:34분에 출발하여 차갓재 송전탑에 도착한다. 아랫도리는 간밤에 내린 비로 물방울을 매단 풀과 잔가지에 젖고, 상반신은 가파른 오름길에 땀으로 흠뻑 젖었다. 차갓재 송전탑 아래에서 우측으로 대간길 잇기를 시작한다. 차갓재에서 3분 거리에 있는 '백두대간 남한구간 중간지점' 표지석을 지난다. 표지석에서 인증을 남기는 분들도 있지만, 안개로 사진이 선명하지를 안아서 포기를 한다. 작은차갓재 이정목을.. 2015. 9. 11. 대간남진 38차(육십령~중고개재) : 논개(朱論介)의 우국충절을 되새기며 걸은 대간길 산 행 지 : 백두대간 38차(육십령~중고개재) 산 행 일 : 2015. 08. 22.(토) 산행코스 : 육십령 ~ 구시봉/깃대봉 ~ 민령 ~ 덕운봉 ~ 영취산 ~ 백운산 ~ 중고개재 + 삼거리 (거리 16.4km + 0.8km) 산행참가 : 17명. 지난 산행 때 할미봉 직전에서 경남덕유교육원 방향으로 탈출하였기에, 버스를 타고 넘었던 육십령휴게소에 도착한 버스 안에서 거의 한시간 넘게 쪽잠을 청하다가, 사람들의 들락날락 하는 소리에 잠에서 께어 산행 준비를 한다. 04:57 육십령휴계소에 있는 '육십령루(六十嶺樓)' 낮에는 몇번 보았던 정각이지만, 안개 자욱한 밤에 보니 전혀 다른 느낌이다. 경남 함양군 서상면과 전북 장수군 장계면을 잇는 고갯길이다. 26번 국도가 지나는 대간 상의 대표적인 고개들 .. 2015. 8. 23. 백두대간 18차(이화령~하늘재) 산 행 지 : 백두대간 18차(이화령~하늘재) 산 행 일 : 2005. 8. 13.(토) 산행코스 : 이화령 ~ 조령산 ~ 신선암봉 ~ 조령 ~ 마패봉 ~ 탄항산 ~ 하늘재 ~ 미륵리 (도상거리 약 00km) 참 가 자 : 00덕팔 이화령휴게소에 도착하여 산행준비를 시작한다. 이화령휴게소 주차장에서 산행을 준비하는 덕팔들. 고개 건너편 출발지점으로 이동합시다! 이화령, 이곳부터 '경상북도'라고 알려주는 표석. 이화령 동쪽 문경 방향으로 이동하여 조령산 방향 산행 들머리로 들어선다. 산행 출발 5분도 지나지 않았는데, "알바다~"라는 외침에 멈춰 선 덕팔들. 들머리에서 좌측 능선으로 오르는 오름길로 들어섰어야 하는데, 계속 우측 사면길을 따르다가 다시 돌아나와 능선 위로 올라간다. 759봉 오름길에 여러 .. 2015. 8. 14. 대간남진 37차(동엽령~육십령) : 장쾌한 조망이 한여름 산행의 고난을 씻어준 남덕유산 대간길 산 행 지 : 백두대간 37차(동엽령~육십령) 산 행 일 : 2015. 08. 08.(토) 산행코스 : 덕유산 안성분소 + 동엽령~무룡산~삿갓재~월성치~남덕유산~서봉~할미봉~육십령 (거리 15.5km + 5km) 산행참가 : 15명. 03:40 덕유산 안성탐방지원센터 앞에서 산행 준비를 마치고 시원한 밤공기에 몸을 맡긴다. 한밤중이고 덕유산의 깊은 골짜기라 그런지, 한여름 임에도 바깥공기가 시원하다 못해 서늘하게 느껴진다. 03:41 동엽령을 향한 칠연계곡 등로로 들어서며 대간 산행을 시작한다. 04:00 칠연폭포 갈림길을 지난다. 칠연폭포는 우측 300m 지점이라 표시되어 있고, 동엽령은 좌측 다리를 건너 올라가게 된다. 칠연폭포 갈림길을 지나니 등로가 제법 가팔라지기 시작한다. 04:47 백두들의 스.. 2015. 8. 9. 대간남진 36차(빼재~동엽령) : 야생화로 천상화원(天上花園)을 이룬 덕유능선을 걷다 산 행 지 : 백두대간 36차(빼재(신풍령)~동엽령) 산 행 일 : 2015. 07. 25.(토) 산행코스 : 빼재 ~ 대봉 ~ 달암재 ~ 지봉 ~ 귀봉 ~ 상여덤 ~ 백암봉 ~ 동엽령 + 병곡 (거리 14.5km + 4km) 산행참가 : 21백두. 백두대간 덕유산 구간은 38km로 한번에 산행을 하기에는 무리라서, 동엽령에서 끊어서 안성탐방지원센터로 하산하거나, 삿갓재대피소에서 1박을 하는 산행을 해야 하는 구간이다. 우리는 빼재에서 출발하여 동엽령에서 대간 산행을 마무리하고, 비법정구간인 동쪽 거창군 북상면 병곡리로 하산하여 무지개송어로 이름난 '병곡송어집'에서 뒤풀이를 하기로 한다. 빼재에서 동엽령 구간은 설천봉과 향적봉 그리고 남덕유산과 서봉을 연결하는 웅장한 곡선미를 조망할 수 있는 구간으로, .. 2015. 7. 26. 백두대간 17차(산성터~이화령) 산 행 지 : 백두대간 17차(산성터~이화령) 산 행 일 : 2005. 7. 23.(토) 산행코스 : 은티마을~산성터~이만봉~곰틀봉~사다리재~백화산~황학산~조봉~이화령 (도상거리 약 00km) 참 가 자 : 00덕팔 은티마을 입구 주차장에 도착하여 산행 준비를 하고, 깜깜한 어둠 속에서 음기 가득한 은티마을을 개들의 요란한 환영을 받으며 통과하며 산행을 시작한다. 은티마을에서 03:30에 출발하여 쉬지 않고 산성터에 도착한 덕팔들. 산성터에서 희양산 정상 방향 진입을 막고자 설치한 울타리를 배경으로. 봉암사 스님들의 울타리 만드는 솜씨가 가히 쓸만하다! 산성터에 도착하는 덕팔들. 희양산을 꼭 가보고 싶은데..! 희양산 방향 들머리에는 목책과 출입금지 현수막이 걸려 있다. 목책을 넘어서 희양산을 다녀온 분.. 2015. 7. 24. 대간남진 35차(부항령~빼재) : 밀려드는 운해(雲海)에 맞서는 대간능선 조망을 즐겨 걸은 대덕산 산 행 지 : 백두대간 35차(부항령~빼재(신풍령)) 산 행 일 : 2015. 07. 11.(토) 산행코스 : 삼도봉터널 + 부항령 ~ 853봉 ~ 덕산재 ~ 대덕산 ~ 초점산 ~ 소사고개 ~ 삼봉산 ~ 수령봉 ~ 빼재(신풍령) (거리 18.7km) 산행참가 : 18백두. 지난번 삼도봉 방향 대간 산행 때에도 출발지였던 부항령에서, 이번에는 대덕산 방향의 대간남진 길을 이으려고 다시한번 부항령에서 새벽 공기를 들이킨다. 삼도봉터널 입구에서 부항령으로 이어지는 임도 들머리에 '부항령' 표석이 있다. 고개 이름은 부항령인데, 터널 이름은 '삼도봉터널'이다. 전북 무주군 설철면과 경북 김천시 부항면을 잇는 1089번 지방도가 지나는 고개로, 부항령이란 고개 이름은, 이 고개 동쪽의 마지막 부락인 가목(가마목의.. 2015. 7. 12. 이전 1 2 3 4 5 6 다음